SEARCH





일상에서의 피로와 심신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휴식과 힐링이 필요한 순간, 가장 먼저 에스테틱과 스파를 찾게 되는 이유.

에스테틱과 스파를 방문하면서도 제대로 알지 못했던 다양한 뷰티 테라피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 줄 테라피 시리즈 기획 기사를 준비했다. 세계 각국의 문화와 자연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테라피별 기원부터, 특별한 테라피 경험을 선사하는 독창적인 리추얼에 담긴 치유적 특성까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피부를 넘어 마음까지 치유하는 유래 깊은 테라피를 재조명하는 시간, 시그니처 랜선 테라피 로드.


By 더시그니처매거진 편집장 이혜민








시그니처 랜선 테라피 로드Ⅰ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물의 힘, 하이드로테라피


에스테틱 & 스파의 테라피 로드 첫 테마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자연적 치유 요법이라 불리며 물을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는 하이드로테라피다.








Chapter 01
하이드로테라피의 기원과 역사


물을 활용한 하이드로테라피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을까?

물을 활용한 치료법이라 불리는 하이드로테라피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가의 문화와 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하이드로테라피에 대한 기원을 찾아보면 기원전 2000년경부터 물을 치유 목적으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고대 이집트를 비롯해 그리스, 로마, 페르시아, 중국, 일본, 인도 등을 포함해 다양한 문명에서 치유의 목적으로 물의 힘을 활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예를 들어, 내세를 믿었던 고대 이집트에서는 목욕을 통해 신체의 청결함을 유지할수록 신과 더 가까워진다고 믿어 온천수와 향유를 결합한 목욕을 통해 몸을 정화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발전시켰다.




그리스, 로마 시대 하이드로테라피의 기초가 될 공중 목욕 문화 활성화

이후 기원전 4~5세기경 당시 의학의 아버지라 불렸던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는 물의 온도와 형태가 신체 균형을 회복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고 주장하며, 열탕과 냉탕을 이용해 체온을 조절하고 염증과 질병, 통증을 완화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이는 훗날 하이드로테라피의 기초가 될 이론(Humoral theory)이 되었다.

그리스인들은 건강 증진과 휴식을 위한 목욕을, 로마에서는 공중 목욕탕 문화가 만연했는데 목욕탕을 가르켜 ‘테르메(thermae)’ 또는 ‘발레아(balnea)’라고 부르며 물을 치유 및 휴식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했다. 차가운 목욕은 신체를 강화할 수 있는 요법으로, 따뜻한 목욕은 신체에 활력, 피부에 탄력을 주는 것이라 여기며 목욕 후 운동과 마사지를 병행했다고 전해진다.

뿐만 아니라 테르메는 로마인들의 삶에서 없어서는 안 될 사교 생활을 위한 중심지로, 역사적 통계에 따르면 로마에만 약 170개의 목욕탕이 존재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카라칼라 목욕탕(Baths of Caracalla)’을 비롯해 로마 제국 최대 규모의 목욕탕이었던 ‘디오클레티아누스 목욕탕(Baths of Diocletian)’등 하이드로테라피의 기원이 된 그 시절의 목욕 문화 유산을 엿볼 수 있는 유적이 남아있다.




현대적 하이드로테라피 형태의 기원은 르네상스 이후 18~19C 부터

이후 중세 시대에서는 전염병으로 인한 위생 문제로 공중 목욕이 금지되었고, 르네상스 시대에 들어 과학과 의학이 발전하면서 온천, 광천수를 활용한 하이드로테라피가 귀족과 상류층에게 다시 각광받게 되었다. 프랑스, 독일 등을 비롯한 유럽 곳곳에 온천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온천수의 치유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이후 18~19C 다양한 형태의 현대적 하이드로테라피의 시작에 기여했다.

19C 초에는 오스트리아의 빈센츠 프리츠니츠(Vinzenz Priessnitz)에 의한 냉수욕, 독일의 세바스찬 크나이프(Sebastian Kneipp)에 의해 물을 활용한 하이드로테라피와 운동, 식이를 병행한 크나이프 요법이 개발되면서 유럽 전역과 미국에 하이드로테라피 전용 시설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를 기점으로 물의 온도를 활용한 대조 요법(Contrast Therapy)과 더불어, 물에 약초나 허브를 첨가하거나 수중 마사지, 수중 운동 등 현재의 웰니스 & 의학적 하이드로테라피의 근간이 되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었다.







Chapter 02
하이드로테라피 효과

물에 담긴 치유의 힘 어떻게 테라피로 활용될까?


그렇다면, 하이드로테라피가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도 사라지지 않고 여전히 큰 관심과 사랑을 받으며 활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해답은 물이 지닌 본질적 효과와 치유의 가치에 있다. 하이드로테라피의 핵심은 ‘외부의 물이 신체를 구성하는 물과 상호 작용을 이루게 하는 것’.

우리 몸은 약 70%의 물 즉, 체액(body fluid)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유기 및 무기물이 용해되어 있으며 성분과 용량이 항상 일정한 범위 내에서 조절되었을 때 세포내외 환경을 안정시켜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하이드로테라피는 물의 다양한 물리적 특성(온도, 압력, 부력)을 이용해 신체를 치유하고 건강을 증진하는 다양한 효과를 지닌다.

온수, 냉수, 증기, 해수, 광천수 등과 신경계, 근골격계, 순환계 등 다양한 신체 시스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말초혈관과 체액의 순환을 활성화하여 체내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하고 염증을 완화하며, 긴장된 신체를 자연스럽게 이완하여 근육통이나 통증을 릴랙스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심리적 편안함과 숙면을 선사하는 등의 이로운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물의 물리학적 특징을 활용한 하이드로테라피 효과

부력 물에서 몸이 위로 떠오르는 성질로 체중의 일부를 지지하여, 관절과 근육에 힘을 받는 자극을 줄여 자연스럽게 가동 범위와 운동성을 높여준다. 근육과 관절에 가해지는 힘의 영향을 줄이고 물의 저항을 통해 부드러운 근력 강화 운동을 가능하게 해 관절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이거나 만성적인 통증을 겪는 경우, 신체의 기능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수압 물 속에 몸을 담그면 수면 깊이에 비례하여 몸의 표면에 물에 의한 압력이 가해진다. 실제로 느껴지는 압은 강하지 않지만 이로 인해 신체의 체액이 심장 쪽으로 원활하게 순환되면서 그 과정에서 호흡을 위한 근육의 활동이 더 많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순환 정체로 인한 부종과 통증 등 여러 문제 개선에 효과를 발휘한다.

수온 온수, 냉수 등 물의 온도에 따라 신체의 에너지 대사와 신진 대사에 생리적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온수는 혈관을 확장하고, 냉수는 혈관을 수축하는 작용을 하기에 테라피 대상과 목적에 따라 물의 온도를 달리 적용한다. 예를 들어, 초기 부종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0~18℃ 정도의 냉수를 활용, 산후 또는 재활을 위한 수중 운동 시에는 27~32℃ 정도의 미온수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알려져 있다.







하이드로테라피가 웰니스 요법으로 각광받는 이유는?

개인에 따라 맞춤 설계된 하이드로테라피는 신체 기능과 운동 기능의 회복, 근골격계의 만성 통증 관리, 정신과 심리를 개선하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이 다양한 임상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 이것이 하이드로테라피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인정받는 웰니스 테라피이자 의학적 치료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이유다.



혈액 순환 개선
온수와 냉수를 교대로 사용하는 하이드로테라피는 혈관의 수축과 확장을 반복시켜 혈액 순환이 원활해지게 하며 혈관 내벽 기능이 개선시켜 혈관의 탄력성이 향상된다. 또한 순환을 촉진하여 말초 조직까지의 원활한 혈액의 공급을 도와준다.

혈액 순환이 개선되면 산소와 영양소가 더 잘 전달되고 노폐물 배출이 원활해지는 효과는 덤. 한편, 온수와 냉수를 교차하여 사용하는 대조 요법은 만성 피로, 근육통, 저혈압 또는 고혈압 환자에게 효과적이다.



면역 시스템 강화
차가운 물을 활용한 냉수 요법은 신체에 가벼운 스트레스를 주어 백혈구 생산을 자극하고, 면역계를 활성화시킨다. 규칙적으로 냉수를 활용한 하이드로테라피를 적용하면 신체의 면역 반응이 강화되면서 각종 감염성 질환에 대한 신체의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염증, 부종 완화로 인한 통증 감소
온수를 활용한 하이드로테라피는 피부를 통해 열이 깊은 조직에 전달되면서 혈류를 증가시키고 염증을 감소시켜 통증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미친다. 냉수 요법은 혈관을 수축시켜 급성 염증과 부종을 줄이는 효과를 발휘해 요통, 근육 경련, 관절염, 신경통 등으로 괴로운 경우에 활용되고 있다.


근육 이완 & 스트레스 해소
온수를 활용한 하이드로테라피는 근육을 이완시키고 몸의 긴장을 풀어주고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요인들을 제거하기에 만성 스트레스와 관련된 근육 경직이나 피로를 줄이는 데 유용하다.

또한 따뜻한 온도에서의 부드러운 물의 압력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분비를 감소시키고 행복 호르몬인 엔돌핀 분비를 촉진한다. 뿐만 아니라 신체의 자율신경계 중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시켜 불면증, 불안증, 우울증 등의 문제를 완화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되찾아 준다.



전신 디톡스
온수 목욕, 온수 증기를 활용한(사우나) 하이드로테라피는 신체의 온도를 상승시켜 신진대사를 촉진, 땀을 통해 체내 독소를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땀을 통해 노폐물이 배출되면서 건조함, 여드름 등이 자연스럽게 개선되는 스킨 디톡스 효과를 함께 경험할 수 있다.


재활 치료
물의 저항을 활용한 운동법은 근육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근력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물의 부력을 이용해 관절과 근육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는 수중 운동 형태의 아쿠아 테라피가 재활 치료에 자주 활용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









Chapter 03
하이드로테라피 종류

하이드로테라피, 일상에서 어떤 형태로 경험할 수 있을까?


1 하이드로배스 Bath
일반적인 자쿠지 크기에 비해 큰 형태의 대형 스파 욕조에 치료용 워터젯이 결합된 형태로 스파나 웰니스 기반 리조트 스파에서 익숙하게 볼 수 있는 매우 일반적인 형태의 하이드로테라피. 자연스러운 림프 드레니지 작용으로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근육의 통증을 줄이고 신체를 해독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배스 형태의 하이드로테라피는 물에 국소적으로 흡수되는 미네랄을 비롯해 유칼립투스, 라벤더 등 식물성 아로마 에센셜 오일과 같은 진정, 릴랙스 효과를 극대화하는 입욕제를 더해 이용된다.







2 플로팅 Floating
플로팅은 중력이라는 힘에 대항하는 물의 부력과 체액과 비슷한 온도와 높은 염도를 활용해, 물 위에 떠서 심신을 치유하는 하이드로테라피다. 플로팅 테라피는 1954년 미국의 신경 정신과 닥터인 존 릴리(John C. Lilly) 박사의 연구를 통해 외부 지극으로부터 뇌와 신경계를 보호하기 위한 치료 방법으로 창안되었다.

존 릴리 박사의 플로팅 탱크(Floating Tank)를 활용한 임상 연구를 통해, 주변의 스트레스로부터 신체를 완전히 차단하고, 물의 부력을 활용한 플로팅 상태에서 뇌가 휴식을 취하면서 수면과 유사한 무의식의 상태에 돌입하게 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능력과 창의적 사고가 향상되고 스트레스와 심리 수준을 안정시켜 수면의 질을 개선하고, 심신의 회복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플로팅 테라피의 효능이 입증된 것.

이후 플로팅 테라피는 스트레스 해소 및 심신을 회복하고 치유하기 위한 요법으로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플로팅 탱크가 개발되었고 현재 전 세계의 웰니스 리조트, 스파에서 플로팅 테라피를 경험할 수 있다.




3 와추 Watsu
수중 바디워크 형태의 현대적 하이드로테라피 요법으로, 1980년대 해럴드 덜(Harold Dull)이 일본에서 동양적인 철학과 시아추를 공부한 뒤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하얼빈 온천(Harbin Hot Springs)에서 와추테라피를 창안했다고 알려져 있다.

‘와추(Watsu)’라는 명칭은 ‘물(Water)’과 일본어의 전통 지압마사지인 ‘Shiatsu(시아추)’라는 일본식 영어가 합성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재활을 위한 수중 요법을 말한다. 서양의 수중 요법과 동양의 지압 마사지, 인도 탄트라 철학의 신체 에너지 시스템과 관련된 요법들이 결합되면서 지금의 형태로발전하게 되었다.

와추테라피의 핵심은 따뜻한 물에서 몸을 부드럽고 유연하게 스트레칭시켜 관절과 근육을 자유롭고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고 신경, 정신의 완벽한 이완을 통해 심신의 편안함과 안정감을 최상으로 이끌어내는 것.

수중에서 신체의 에너지 선을 따라 스트레칭하며 물리적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척추와 주변 근육의 긴장을 해소하고 근육과 관절의 가동범위를 넓혀 통증을 줄이기 위한 재활 요법으로도 활용된다. 주로 웰니스 리조트 스파, 휴양 센터에서 경험할 수 있으며, 보다 우리에게 친숙한 수중 운동인 아쿠아 테라피도 넓게 보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4 비시 샤워 Vishy shower
샤워를 통한 물의 압력과 물의 온도를 활용해 신체의 감각을 깨우고 물이 지닌 치유력을 극대화하는 하이드로테라피. 프랑스 중부에 위치한 지역인 비시(Vishy)의 치유력을 지닌 샘에서 따온 명칭으로, 19C 유럽에서 웰니스 치유 요법이 성행하던 시기 스파 문화와 결합하며 고급 스파의 테라피 요법으로 자리매김했다.

비시 샤워는 트리트먼트 룸에 수평의 샤워 막대기에 고정된 5~7개의 샤워헤드를 활용하며, 누운상태에서 샤워헤드에서 분사되는 물줄기로 마사지를 받는 듯한 특별한 하이드로테라피를 경험할 수 있다. 개인에 따라 물의 온도와 압력, 조사되는 각도를 조절해 부위별 집중 케어가 가능하며, 물의 에너지로 신체 근육을 부드럽게 이완하고, 순환을 개선하여 독소 해독을 돕고 스트레스를 해소해 심신의 안정을 되찾아준다.








Chapter 04
하이드로테라피 로드

하이드로테라피, 어디서 경험하면 좋을까?


평균 수명의 증가로 전 세계적으로 노년 인구의 증가가 가속화되고 있는 요즘. 물이 가진 치유적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에스테틱 & 스파를 비롯해 다양한 웰니스 리조트, 휴양 시설에서 여러 형태의 하이드로테라피를 경험할 수 있다. 하이드로테라피의 현대적 형태에 기원이 되는 유럽의 휴양 도시에서 특히 더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에도 하이엔드 스파의 고급 메뉴로 도입되고 있다.





빌라 딸고 클럽 & 스파 Villa Thalgo Club & Spa
프랑스 파리에 위치, 프라이빗한 공간에서 현대적 하이엔드 웰니스 스파

PROGRAM 해양 미네랄 스파 트리트먼트와 아쿠아 짐을 활용한 하이드로테라피 제공
ADD 8 Av. Raymond Poincaré, 75016 Paris, France
 진출처 @villathalgo





그랜드 리조트 바트 라가즈 Grand Resort Bad Ragaz
스위스 동부 알프스 산기슭에 위치한 5성급 메디컬 헬스 리조트

PROGR AM 풍부한 온천수 스파, 스팀 사우나 시설로 전인적 웰빙 경험 제공
ADD Bernhard-Simonstrasse 20, 7310 Bad Ragaz, swiss
사진출처 @resortragaz





엠서 테르메 & 호텔 Emser Therme & Hotel
독일에서 가장 현대적이고 매력적인 웰니스 스파 & 호텔

PROGRAM 6,600m² 규모의 온천과 사우나 공원 시설, 수중 운동, 비시 샤워 제공
ADD Viktoriaallee 25, 56130 Bad Ems, Germany
사진출처 @emserthermeundhotel





세체니 온천 Szechenyi spa
아름다운 궁전 형태의 유럽 최고 대형 온천 스파

PROGRAM 15개의 실내 온천과 2개의 야외 온천, 사우나, 스팀캐빈, 테라피 제공
ADD Budapest, Állatkerti krt. 9-11, 1146 Hungary
사진출처 @szechenyithermalbath














 
by 이혜민
사진
Shutterstock